본문 바로가기
외국어 공부/영어공부

영어공부시작 1일차 in,at,on 공부하기

by 해피쏠 2025. 3. 3.

수능을 치름과 동시에 나는 영어 공부를 손에서 놨다. 어문전공이기도 해서 영어 공부를 안하는 대신 다른언어에 집중하기로 했다.

그러나... 나이가 먹을 수록 깨닫는 것은 다른 언어를 뛰어나게 잘한다고 해도 영어는 해야한다는 것..🥲 

취직 준비 때문에 몇번 깔짝이다가 운좋게 토익 안보는 곳에 취직하게 되면서 그뒤로 영어 공부를 한 적이 없었는데 갑자기 영어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던 참에 우연히 인스타에서 [영어로 문장 만들기 훈련 1차 임계점]이라는 도서를 보게 되었다. 

 
영어로 문장 만들기 훈련 1차 임계점
넘을 수 있습니다. 이런 문장 만들기의 절반은 전체 문장의 ‘주어 + 서술어 뼈대’를 세우는 것인데, 영어와 어순이 다른 한국어 구조상 이렇게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첫발부터 삐거덕거리니 앞으로 나아갈 수가 없지요. 〈영어로 문장 만들기 훈련 1차 임계점〉은 문장 만들기 훈련이 지속되기 힘든 이유를 파악해 본책의 모든 한국어 문장을 영어 문장 구조로 시각화하여 학습자가 ‘주어 + 서술어 뼈대’를 체득해 머릿속에 떠오른 한국어 문장을 가장 단시간 내에 영어
저자
유은하
출판
사람in
출판일
2024.07.15

 

제목도 단순하고 디자인도 그렇~게 눈길을 끌만한 것도 아니었지만 왠지모르게 이 책을 한권만 끝내면 영어를 잘할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도서관에서 빌려서 한 일주일을 방치해 뒀다가 공휴일 저녁에 한번 펼쳐 보게되었다.

이제 step1이지만 한번 해보니 패턴을 확장해 가면서 문장의 길이를 늘리는 연습을 많이 시키는 책 같았다. 

공부를 오랜만에 하니 샤프로 공책에 끄적이는 느낌도 좋고, 시간을 알차게 쓰는 느낌이 들어 왠지 모르게 기분이 좋았다.

그러나 결과는 처참했다...내가 왜 영어를 포기했는지 떠오르면서 또다시 영어와 한걸음 멀어질뻔 했다

문장 마다 단어 힌트도 주고 앞에서 한번 연습을 하고 와서 호기롭게 했는데... 

첫번째 틀렸던 문장들을 다시 살펴보고 두번째는 그것을 외워서 다시 해봤다. 

아까전에는 2개를 맞았었는데 다행히 두번째는 2개를 틀렸다🥹

두번째를 하면서 확실히 모르는게 무엇인지 알았다 at,in,on의 차이를 모르고 있었다! 그래서 이것들의 차이를 알아봤다. 

1. 시간(Time)

  • In: 넓은 시간 범위 (월, 연도, 계절 등)
    • 예: I was born in 1990. (나는 1990년에 태어났다.)
    • 예: We go hiking in autumn. (우리는 가을에 하이킹을 간다.)
  • On: 특정 날짜나 요일
    • 예: I have a meeting on Monday. (나는 월요일에 회의가 있다.)
    • 예: She was born on Christmas Day. (그녀는 크리스마스에 태어났다.)
  • At: 구체적인 시간
    • 예: The train arrives at 5 p.m. (기차는 오후 5시에 도착한다.)
    • 예: He sleeps at midnight. (그는 자정에 잔다.)

2. 장소(Location)

  • In: 넓은 공간이나 경계가 있는 장소
    • 예: She lives in Seoul. (그녀는 서울에 산다.)
    • 예: The keys are in the drawer. (열쇠는 서랍 안에 있다.)
  • On: 표면 위나 특정한 길/층
    • 예: The book is on the table. (책이 테이블 위에 있다.)
    • 예: He lives on the second floor. (그는 2층에 산다.)
  • At: 특정 지점이나 좁은 장소
    • 예: I’ll meet you at the station. (나는 역에서 너를 만날 것이다.)
    • 예: She’s waiting at the door. (그녀는 문 앞에서 기다리고 있다.)
  in on at
시간 넓은 범위 (연도, 계절) 특정 날짜/요일 구체적인 시간
장소 넓은 공간/안 표면/길/층 특정 지점

 

 

그래서 '우리 할머니는 일요일 오후에는 현관에서 예쁘게 뜨개질을 하십니다'에서 현관에서가 in the porch가 아니고, on the porch라는 것이다. 

porch(현관)은 집의 외부에 있는 구조물로 보통 바닥이 있고, 표면 위에 있는 공간으로 간주되서 할머니가 뜨개질을 하는 장소는 표면 위에 이루어지는 행위로 간주되어 on the porch라는 것이다. in은 어떤 공간의 내부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고 한다. 방이나 건물처럼 경계로 둘러싸인 완전한 내부 공간을 말할 때 in을 사용한다고 한다. 

 

오늘은 step1까지만 하고 여기서 끝내기로 했다. 그래도 작심삼일까지는 해봐야지...